-
최근 뉴스에서 영부인께서 갑작스러운 어지럼 증상을 호소하시며 이석증 진단을 받으셨다는 보도가 나오면서, 많은 분들이 “나도 혹시?”라는 생각을 하셨을 것입니다. 이 글에서는 이석증이 무엇인지, 왜 생기며 어떻게 치료와 예방을 할 수 있는지 차근차근 안내해 드리겠습니다.
목차
1. 이석증이란?
이석증의 정식 명칭은 양성 발작성 체위성 현훈입니다. 귓속 평형 감각 기관 안에 있어야 할 작은 돌(이석)이 제자리를 벗어나 반고리관 쪽으로 이동하면 머리나 몸의 움직임에 따라 눈과 뇌가 잘못된 신호를 받아 어지럼이 발생합니다.
비교적 치료 가능성이 높고 생명에 치명적이지 않은 질환이지만, 증상이 강해 불안감을 줄 수 있습니다.
2. 주요 증상과 특징
증상 설명 회전성 어지럼 주위가 빙글빙글 도는 느낌이 수초~1분 내외로 지속됩니다. 자세 변화 유발 누웠다 일어나거나 고개를 돌릴 때, 고개를 뒤로 젖힐 때 증상이 나타납니다. 구역감·구토 심한 어지럼이 동반될 경우 메스꺼움·구토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 잔존 증상 증상이 사라진 후에도 머리가 무겁거나 흔들리는 느낌이 남을 수 있습니다. 3. 원인과 위험 요인
- 귓속의 이석 결정체가 떨어져 나가 반고리관 내부로 이동하면서 이상 자극을 줍니다.
- 노화나 퇴행성 변화로 인해 이석이 제자리에 붙어 있는 힘이 약해질 수 있습니다.
- 머리 외상, 급격한 동작, 스트레스와 수면 부족 등 전신적 요인도 영향을 미칩니다.
- 골다공증·칼슘 대사 이상이 있는 분들은 위험이 더 높습니다.
- 이전에 이석증을 겪으신 분들은 재발 가능성이 높습니다.
4. 진단 방법
- 딕스-홀파이크 검사 (Dix-Hallpike Test): 머리를 특정 자세로 바꾸어 눈의 움직임(안진)과 어지럼 여부를 관찰합니다.
- 체위안진 검사 또는 영상 장비를 활용한 안구 움직임 분석을 시행합니다.
- 필요 시 청각 검사나 전정 기능 검사, MRI 등 보조 검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.
5. 치료와 관리
이석증은 적절한 치료와 관리만 하신다면 회복 가능성이 높습니다.
- 체위정복술 / 이석정복술: 머리와 몸의 각도를 바꾸어 이석을 제자리로 유도하는 시술로, 한두 번만에 증상이 사라지는 경우도 많습니다.
- 증상이 심하실 때는 항히스타민제, 진정제, 진토제 같은 약물로 증상을 완화합니다.
- 치료 직후에는 머리 급격한 움직임을 피하시고, 며칠간 안정을 취하시는 것이 좋습니다.
- 생활습관 관리: 충격을 피하고, 골밀도 관리와 칼슘·비타민D 섭취, 규칙적 운동을 통해 재발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.
6. 예방과 재발 방지 팁
- 머리에 충격을 주는 활동을 피하시는 것이 좋습니다.
- 수면 자세를 조심하여 머리가 한쪽으로만 쏠리지 않도록 하며, 적절한 높이의 베개를 사용하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.
- 규칙적으로 햇볕을 쬐어 비타민 D를 생성하면 이석 유지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.
- 칼슘 섭취와 뼈 건강 관리도 병행하시는 것이 좋습니다.
- 스트레스·과로를 줄이고 충분한 수면을 확보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.
이석증은 갑작스러운 회전성 어지럼증으로 인해 불안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, 원인이 비교적 명확하고 치료 가능성이 높은 질환입니다. 반복되는 어지럼이나 자세 변화에 따른 증상이 있다면 이비인후과 전문의를 방문하시어 정확한 진단을 받으시는 것이 안전합니다.
'건강관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환절기 감기예방 및 면역력 증진 꿀팁 BEST 8 (0) 2025.09.29 백혈병, 꼭 알아야 할 원인·증상·예방·치료법 (0) 2025.09.28 솔잎 효능, 피톤치드로 지키는 자연 건강 비밀 (0) 2025.09.19 비타민C 과다복용, 알아두어야 할 부작용과 안전 가이드 (0) 2025.09.19 다이어트와 림프마사지 병행 팁 (0) 2025.09.17 꼭 알아야 할 경고, 심근경색 전조증상 (0) 2025.09.16 가을철 파크골프, 건강하게 즐기는 방법 (0) 2025.09.15 50대 이후 시작하기 좋은 운동 BEST, 건강수명을 지키는 습관 (0) 2025.09.15